지난번 포스팅에서 검은건반과 손가락 번호, 음표의 리듬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흰건반의 계이름 (도레미파솔라시) 연주와 여러 가지 쉼표, 셈여림 기호를 배워보겠습니다.
흰건반 계이름, 4분쉼표/ 2분쉼표/ 온쉼표, 셈여림 기호
피아노는 2개의 검은건반과 3개의 검은건반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검은건반을 기준으로 흰건반의 계이름(도레미파솔라시)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은건반 2개 아래에 있는 흰건반의 계이름은 '도레미'이고 검은건반 3개 아래에 있는 흰건반의 계이름은 '파솔라시'입니다. 가장 먼저 검은건반 2개의 왼쪽에 위치한 계이름 '도'를 찾아봅니다. 초보들은 어느 정도 적응이 될 때까지 '도' 건반에 작은 스티커를 붙여 표시해주는 방법도 좋습니다.
<세상의 모든 바이엘> 1권 교재의 14번 곡입니다. 이 곡은 계이름 '도레미' 연습곡입니다. 교재의 건반 그림을 보며 손 자리를 찾습니다. 검은건반 2개 아래 '도레미' 자리를 기억하고 1,2,3번 손가락을 올려줍니다. 왼손은 '도'에 3번 손가락이 오도록 하면 됩니다. 손 모양은 동그랗게 하고 손목은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합니다. 오른손은 '도레미'를 두 번 연주한 후 부드럽게 옥타브 위의 '도레미'자리로 이동해서 연주하고 왼손은 '도레미'를 두 번 연주한 후 옥타브 아래의 '도레미'자리로 이동해서 연주합니다. 이동할 때 부드러운 손목으로 무지개를 그리듯이 이동해 줍니다.
15번 <내 친구>입니다. 이 곡도 14번과 같이 '도레미' 자리에 1,2,3번 손가락을 올려줍니다. 4분음표 (1박)와 2분음표 (2박)의 리듬을 정확하게 구분을 해서 연주하고 한음 한음을 손가락을 세워 단단하게 눌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사에 좋아하는 친구 이름을 넣어 노래 부르면서 연주하면 아이들이 더욱 즐거워합니다.
16번은 아이들이 매우 잘 아는 동요 <비행기>입니다. 귀에 익숙한 동요는 더 빨리 습득하기도 하지만 연주를 하며 스스로 성취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곡을 완벽하게 연주한 후에는 칭찬을 많이 해주어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도레미'자리이지만 손가락 번호를 2,3,4번으로 바꾸어 연주합니다. 교재에 나오는 피아노 건반 그림을 보며 손 자리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도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곡도 같은 음을 여러 번 반복해서 연주하는 반복음이 많기 때문에 손목으로 드리블하듯 가볍게 연주해야 합니다.
17번 <박서방>입니다. 이 곡도 아이들이 잘 아는 동요이고 지금까지 연주한 곡들 중에 가장 길이가 긴 곡입니다. 이러한 곡은 연습을 해서 연주 동영상을 찍어 남기는 것도 좋습니다. 왼손의 자리가 새로운 자리로 바뀌었기 때문에 교재의 손 자리를 잘 보며 검은건반 3개 아래 계이름 '솔라'를 정확하게 찾아야 합니다. 멜로디가 오른손에서 시작해 왼손으로 받는 부분이 있는데 선율이 끊어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분음표나 온음표와 같이 길이가 긴 음표는 정확한 박을 세어주어 음의 길이를 잘 지켜 연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번개 모양의 4분쉼표가 나올 때는 쉿! 손목을 가볍게 들어 1박 동안 소리를 깔끔하게 없애주어야 합니다. 여러 번 반복 연습해서 신나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한 후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18번 <악기놀이>도 17번 연습곡과 같은 손 자리입니다. 악보에 p(피아노), f(포르테), 크레셴도, 데크레센도와 같은 기호들이 많이 있는데 이것은 모두 셈여림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처음에는 오른손과 왼손, 손가락 번호를 정확하게 보며 연습한 후 익숙해지면 셈여림을 살려 연주하도록 합니다. p(피아노)는 여린 소리, f(포르테)는 센소리, 크레셴도는 점점 세게, 데크레센도는 점점 여리게 연주합니다. 주의할 점은 여린 소리, 센소리 모두 단단한 손끝으로 연주해야 합니다. 셈여림 기호를 살려서 연주하면 곡의 율동감이 더욱 느껴집니다.
19번 곡은 검은건반 3개 아래 '파솔라시' 자리를 위한 연습곡입니다. '파'와'솔'에 왼손 2,3번 손가락을 올리고 '라'와'시'에 오른손 2,3번 손가락을 올립니다. 왼손과 오른손이 번갈아가며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연습입니다. 이 곡은 손 자리 이동이 많아 아이들이 어려워할 수 있기 때문에 천천히 연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중간과 끝에 온쉼표가 나오는데 2분쉼표와 함께 설명해주면 이해가 빠릅니다. 모자 모양의 2분쉼표는 2박 쉬고 모자를 거꾸로 뒤집은 모양의 온쉼표는 4박을 쉬어야 합니다. 쉼표는 번개모양(4분쉼표), 모자모양(2분쉼표)과 같이 비슷한 사물의 모양으로 인지하면 더욱 빠르게 외울 수 있습니다.
댓글